2023 09 25 월요일
Home과학꿈과 렘수면: 뇌 가소성의 신비로운 이야기

꿈과 렘수면: 뇌 가소성의 신비로운 이야기

우리 뇌는 지난 이십만 년 동안 별다른 구조적 변화 없이 현재까지 왔다. 그러나 뇌의 놀라운 유연성, 일명 ‘뇌 가소성’ 때문에 인류는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적응할 수 있었다. 이러한 뇌 가소성은 우리가 꿈을 꾸는 이유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출처: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유튜브 채널

뇌 가소성의 기본 원리

뇌 가소성은 뇌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빠르게 구조와 기능을 재구성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몸의 일부가 사라져도 그 부분을 담당하던 뇌 영역은 다른 영역에 흡수되거나 재구성된다. 이러한 뇌의 유연성은 인류가 다양한 지형과 날씨에 적응할 수 있게 해주었다.

출처: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유튜브 채널

뇌와 꿈의 연결고리

뇌 가소성은 꿈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렘수면 단계에서는 뇌가 랜덤한 신호를 보내며, 근육을 마비시켜 몸을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를 통해 뇌는 ‘가상의 경험’을 통해 자극을 받고, 뇌의 각 부분이 활성화된다.

뇌의 ‘일거리’와 렘수면

출처: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유튜브 채널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유튜브 바로가기
렘수면과 꿈은 뇌가 일을 하지 않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사실, 렘수면의 비중이 높은 동물은 뇌가 더 미완성한 상태로 태어나, 더 긴 시간 동안 양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동물들은 뇌 가소성이 더 높은 편이다.

미완성의 뇌: 다니엘 사례

플로리다에서 발견된 다니엘은 벽장에 갇혀 평생을 보냈다. 그의 뇌는 충분한 자극을 받지 못해 발달하지 못했으며, 이를 통해 뇌가 외부 세계를 스스로 공부하며 성장한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뇌의 유연성은 언제까지?

연구에 따르면, 뇌의 부서 재편은 예상보다 빠르게 일어난다. 눈을 한 시간만 가리고 있어도, 뇌의 시각 부서는 소리에 반응하기 시작한다.

결론: 뇌 가소성의 중요성

뇌 가소성은 인류가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 적응할 수 있게 하는 핵심 메커니즘이다. 이는 뇌가 꿈을 통해 자기 자신을 지속적으로 ‘훈련’시키는 이유와도 연결된다. 꿈과 렘수면은 뇌 가소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로, 뇌과학의 다음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다른 건강 정보

인기 게시물